작은미술관 밖 더 큰 미술관 사업명 2015년 작은미술관 조성·운영사업 사업기관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업년도 2015

 

사건 기획
함께 만들어가는 미술관 작은 미술관 밖 더 큰 미술관

옛 보건소, 폐공업단지 같이 우리가 잊고 있던 공간이나 주민자치센터 같이 일상적으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에 ‘작은 미술관’을 만들어 운영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업이 있습니다. 적절한 전시 공간이 없어 작품 관람 기회조차 쉽지 않은 지역 주민들의 문화격차를 해소해 생활 속 시각예술 체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기회입니다.

보통 미술관하면 새로 건물을 짓거나 대대적으로 시설을 만드는 일 먼저 시작했다면 ‘작은 미술관’은 기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그 안에 채울 내용을 만드는 일에 주력합니다. 각 미술관들은 지역과 공간의 특성을 잘 살린 예술 프로그램으로 주민들과 함께, 주민들에게 다가섭니다. 티팟은 공업단지에 위치한 경기도 안산시의 주민센터 분소로 출동했습니다.

우리 집 앞 미술관

안산시 상록구 사2동 주민자치센터 분소로 활용되는 공간에 <작은 미술관 밖 더 큰 미술관>이 만들어졌습니다. 작가와 주민이 함께 만드는 아카이브 미술관을 기본 개념으로 사2동의 주민, 공간, 이야기를 작품의 주제로 삼았습니다.

기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되 최소한의 공사로 전시에 적합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가벽을 세우고 미닫이 형식의 무빙월을 설치해 평소 프로그램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가변성이 뛰어난 공간으로 바꿨습니다.

또 주민자치센터 분소가 주거용 다세대건물에 위치해 공간을 홍보하기 어려워 1층 유휴공간에 전시큐브를 설치해서 작품 설치와 미술관 전시 홍보를 했습니다. 사업이 끝난 뒤에도 이 공간은 2층 작은 도서관에서 활용해서 새로운 콘텐츠로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부족한 전시 공간은 오히려 계단까지 전시를 확장하게 해 건물 전체를 미술관으로 바꾸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작은 미술관 밖 더 큰 미술관>에서는 마을 이야기와 사건을 다양한 장르의 작가와 지역 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주제를 재구성하고 예술을 소통의 매체로서 주민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해 나가는 아카이브 전시를 중심으로 했습니다.

세 번의 기획 전시는 전시마다 마을 주민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두 개씩 넣어서 그냥 보는 전시가 아니라 함께 만드는 전시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소곤소곤 작은 이야기’ 전시에서 작가와 마을 주민들이 함께 라인테이프를 활용해 작품을 완성

첫 번째 전시 ‘소곤소곤 작은 이야기’(프로젝트그룹 옆)에서는 마을의 장소에 대한 이야기와 드로잉을 기반으로 우리마을 풍경을 작품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주민들이 좋아하는 마을 공간과 작가가 바라본 마을의 이곳저곳을 전시공간에 구현했습니다.

두 번째 전시인 ‘사2동 그림일기’(조장은)에서는 마을을 위해 애써온 주민들을 만나 인터뷰를 통해 살아온 이야기를 듣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주민 참여 프로그램으로 엄마의 눈으로 바라본 가족의 초상을 그렸는데 이 작품들은 작가의 작품과 함께 나란히 전시회장에 걸렸습니다.

세 번째 전시는 마을의 자연을 아카이브한 ‘꽃피는 봄이 오면’(임광혁)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벚꽃나무 조형물을 만들고, 참여자들이 꽃과 소원카드를 만들어 설치해서 작품을 완성했습니다.

주민들이 직접 그린 가족의 초상화

더 넓혀 나가는 ‘더 큰 미술관’

두번째 기획 전시에서 그린 작품들은 인터뷰 주인공인 주민분들이 11점 가운데 7점을 구입했습니다. 큰 금액은 아니지만 일반 주민들이 작가의 작품 원본을 구입하고 소장하는 일을 통해 예술의 적극적인 향유자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작품 판매 수익금은 작가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미술교육을 위해 기부하였으며, 노인정 어르신들의 초상화 작업은 1층 노인정에 기증하였습니다.

 

작은 미술관 기획은 미술관이 전시 공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미술관을 거점으로 해서 마을 전체가 하나의 미술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해 나가는 일일 것입니다. ‘작은 미술관 밖 더 큰 미술관’에서도 마을 동아리 사진 전시회를 마을 주도로 개최하면서 주민들은 실제 전시를 기획하는 일까지 해볼 수 있게 됐습니다. 또 주제로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을 택하면서 단순히 주민들의 예술적 경험을 넘어 마을에 대한 애착심을 가질 수 있게 했습니다.

 

사업의 기획과 운영을 진행하는 티팟 입장에서도 작가 3팀, 에듀케이터 1명과 도슨트 1명이 협력하고 여러 지자체와 단체들의 도움을 받는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문화 소외 지역이 오히려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예술문화를 이끄는 지역으로 역할을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입니다.